-
● 인간은 마지막에 무엇을 생각할까?
인간은 마지막에 무엇을 생각할까? 몇해 전 극작가 손톤 와일더의 우리 읍내 라는 연극을 보았습니다. 이미 떠난 이승에 미련을 못버린 에밀리는 살아생전 지극히 평범한 어 느 하루로 돌아가게 해 달라고 간청합니다. 그 소원이 이뤄져 잠깐 이승으로 돌아간 에밀리는 살아있는 사람들이 너무많은것들을 당연하게 여긴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. “나는 살아있을 때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전혀 깨닫지못했어. 아무도 그런 점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지... 이제 작별인사를 할게. 가을 정원 의 해바라기. 안녕, 맛있는 샌드위치와 커피, 안녕, 아빠 엄마 안녕, 재 깍거리는 시계... 그리고 새로 다린 드레스와 뜨거운 목욕... 잠을자고 깨어나는 일. 사람 들이 이렇게 멋진 것들을 깨닫지 못하다니...” 그 평범이 평범이 아니었 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. 수년간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한 한 일본인의사가 천명이 넘는 암 말기 환 자들의 죽음을 접하며 그들이 남긴 이야기를 정리하여 책으로 출간하였 습니다. ‘죽을 때 후회하는 25가지’였습니다. 그 내용은 이렇습니다. 1. 자신의 몸을 소중히 하지 않았던 것 2. 유산을 어떻게 할까 결정하지 않았던 것 3. 꿈을 실현할 수 없었던 것 4. 맛있는 것을 먹지 않았던 것 5. 마음에 남는 연애를 하지 않았던 것 6. 결혼을 하지 않았던 것 7. 아이를 낳아 기르지 않았던 것 8. 악행에 손 댄 일 9. 감정에 좌지우지 하며 일생을 보내 버린 것 10. 자신을 제일이라고 믿고 살아 온 것 11. 생애 마지막에 살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았던 것 12. 사랑하는 사람에게 '고마워요'라고 말하지 않았던 것 13. 가고 싶은 장소를 여행하지 않았던 것 14. 고향에 찾아가지 않았던 것 15. 취미에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던 것 16.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나지 않았던 것 17. 하고 싶은 것을 하지 않았던 것 18. 사람에게 불친절하게 대했던 것 19. 아이를 결혼시키지 않았던 것 20. 죽음을 불행하다고 생각한 것 21. 남겨진 시간을 소중히 보내지 않았던 것 22. 자신이 산 증거를 남기지 않았던 것 23. 종교를 몰랐던 것 24. 자신의 장례식을 준비하지 않았던 것 25. 담배를 끊지 않았던 것 대부분 다 하지 못한 일에 대한 후회들입니다.후회란 보통 두 가지입니 다. 한 일에 대한 후회와 안한 일에 대한 후회입니다. 그런데 이중에서 해보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가 훨씬 크다는 것을 조금 전 사례에서 보면 알수 있습니다. 한 일에 후회는 상대적으로 짧습니다. 그런데, 동시에 한일에 대한 것은 ‘경험’이라는 소중한자원이 남습니다. 그러나 해보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는 정말 후회막급 한 일로 계속 남습 니다. 그래서 어떤 면에선 해 보고 욕먹는 게 안해 보고 욕먹지 않는 것 보다 낫습니다. 오늘 해야 할일이 있다면 바로 시행하십시오. 내일은 나의 날이 아닙니 다. 어제도 이미 지나갔고, 오늘만이 나의 날입니다. 이 구호를 외치며 사는 것이 카르페 디엠이라는 말입니다. 과거는 지나갔고 내일은나의 날이 아니기때문입니다. 이렇게 살았다면 이 사람은 마지막 순간에 웃을 수 있고 여유를 가질 수 있습니다. 미련을 갖지 않게 됩니다. 그렇게 살아야 세상에 대한 미련 없이 멋진 모습으로 삶의 마지막을 맞이할 수 있지 않을까요? 얼마 전에 세상을 떠난 소설가 박완서 선생님도 “나이가 드니 마음 놓 고 고무줄 바지를 입을 수 있는 것처럼 나 편한대로 헐렁하게 살 수 있어서 좋고 안하고 싶은것 안할 수 있어서 좋다. 이렇게 생각 하시면 됩니다. 다시 젊어지고 싶지도 않다. 안하고 싶은 걸 안하고 싶다고 말할 수 있 는 자유가 얼마나 좋은데 젊음과 바꾸겠는가. 다시 태어나 고 싶지도 않다. 난 살아오면서 볼 꼴 못 볼 꼴 충분히 봤다. 한번 본 거 두 번 보고 싶지 않다. 한번이면 충분하다. 얼마나 멋진 생각입니까? 한 겹 두 겹 어떤 책임을 벗고 점점 가벼워지 는 느낌을 음미하면서 살아가고 싶다. <토지>의 작가 박경리 선생 님도 소설도 써지면 쓰겠지만 안 써져도 그만이다.” 라고 하였습니다. “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. 늙어서 이리 편안한 것을. 버리고 갈 것 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.” 라는 얘기를 하면서 죽음을 맞이하였습니다. 이렇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는 것은 하루하루를 성실이 보냈고 지금 여기를 살았고 일상의 것들이 소중하다는 것을 알고 느꼈던 사람들만이 고백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. 오늘 여러분들이 누리고 있는 일상이 나에게 가장 소중한 행복의 자원 임을 꼭 기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. = 펌 =
가져온 곳: 황혼의 멋진 삶 ㅣ 글쓴이 : 김영균 |
'좋은 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파서 못걷는게 아니라 걷지 않어서 아프다 (0) | 2020.02.19 |
---|---|
비단과 걸레 (0) | 2020.02.07 |
보고픈 가슴이 (0) | 2019.12.23 |
세상에서 가장 예쁜 사랑 고백 (0) | 2019.12.20 |
다산은 말한다. “부지런히 메모하라. 쉬지 말고 적어라 (0) | 2019.12.04 |